정토사 유심선원

jungtosa image

 

⦿의식수양


  • 의식수양은 자신의 심성체 자체와 의식활동에 대해 진행되는 자기 완선完善의 과정입니다.
    의식활동의 평면성과 착오를 고쳐서 전면적이고 정확하게 사물을 반영하고 처리하는 관점과 방법을 배양하는 것입니다.
  • 의식수양의 전체 과정은 실제로 소아小我 ? 에서 대아大我에 도달하는 정신수련의 과정입니다.
    여기에는 성격과 정서의 중화中和 ? , 정취情趣 ? 의 승화, 편집偏執 ? 의 극복, 대아大我의 수립이 있습니다.
  • ① 성격의 수양은 나쁜 습관과 편파偏頗적인 성격을 다스리는 것입니다.
    편파적인 성격은 심성의 허령명정虛靈明 ? 하고 막힘없는 상태를 심각하게 어지럽힙니다. 보통은 그 사람의 개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수행의 관점에서 보면 심각하게 병든 상태입니다. 이것은 수행자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의식수양의 기본적 과제입니다.
  • ② 정서는 격정이 지속되어 자각성 없이 유발된 상황에 끌려 영명성靈明性 ? 을 잃게 된 상태입니다.
    정서의 수양은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정서의 안정을 유지하여 중화의 성품에 부합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비교적 어려운 일입니다.
    세상살이의 여러 자극이 희로애락의 변화를 이끌어 의식영역에 고유의 스타일을 형성하고 습관을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흔히 ‘인지상정人之常’이라 하여 정서에 이끌리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정서를 중화中和에 이르게 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련의 처음 단계에서의 관건은 의식이 기운과 형체를 제어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의식이 안정되지 않으면 기운도 따라서 불안정해집니다.
    정신이 맑게 비어있고 영명靈明 ? 하며 안정적으로 제어되어야 기운도 안정적으로 변화합니다. 의식과 기운은 서로 영향을 주어 수행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때 수행의 중점은 의식과 기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의식을 조절하여 기운을 보호하고, 기운을 양육하여 다시 형체와 의식을 양육합니다.
  • ③ 이 변화를 완성하려면 반드시 자각적으로 개조해서 정취情趣의 층차를 향상시켜야 합니다.
    정취情趣는 흥취의 기초 위에 수립되는 비교적 안정적인 정신적 추구를 말합니다. 인간의 생명활동은 여러 층차에서 진행되고 그것을 만족시키는 욕구도 여러 층차가 있는데, 정신적인 층차에서의 욕구를 추구하면서 거기에 상응하는 정취情趣를 수립해야 합니다. 수행자는 자신의 정취를 본능적인 층차에서 자각자유의 고상한 쪽으로 옮겨 가야합니다.
  • ④ 편집偏執의 극복은 수행이 중급 단계에 도달한 후의 의식정화淨化과정입니다.
    중급 수준이란 의식이 기운 속으로 들어가는 경계( 신입기중神入氣) ? 에 도달한 것입니다. 이때 수행의 중점은 의식이 기운을 다스리는 내용이 아니라, 의식과 기운의 합일(신기합일神氣合)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의식의 주관적이고 굳어진 부분을 청소하여 오염된 심성心性을 정화하고 영명靈明하고 걸림 없는 체성을 드러내어야 합니다. 이렇게 되어야 신기합일神氣合이 가능합니다. 이 단계에 이르러서는 기운이 비교적 정순精純 ? 하기 때문에 기운보다는 심성心性에 중점을 둡니다. 이 점을 완성하기 위해서 첫째는 의지력과 정력定力 ? 을 강화하고, 둘째는 심성의 분별망상分別妄 ? 을 청소해야 합니다.
  • ⑤ 대아大我의 수립은 수행의 마지막 고급 단계에 해당됩니다.
    의식 영역을 완전히 심도 있고 광범위하게 개척하는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의식과 기운이 이미 합일되었기 때문에, 의식이 확장하여 대아大我에 이르면 기운과 형체의 변화는 자연스럽게 수반됩니다.
  • 이것은 장기적이고 힘든 수행과정으로서 수십 년의 용맹정진이 필요합니다. 심신의 건강수준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수련을 통해 인체혼원기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의식수양을 통해 인체혼원기의 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 두 방면에서 일정한 수준에 도달해야 전체적인 변화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 도덕은 옛사람이 말한 ‘마음속에 또 마음이 있다’는 심층의 의식활동에 속하고 사람의 전체적인 생명활동에 영향을 줍니다.
    그러므로 도덕수양은 의식수양의 핵심내용이 됩니다. 성격과 정서의 중화中和 ? , 정취情趣의 승화, 편집偏執의 극복, 대아大我의 수립 등의 의식수양은 모두 도덕수양과 관련됩니다. 도덕수양은 심성心性의 참고계參考系 ? 의 바탕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의식수양의 전체과정을 관통합니다.